본문 바로가기

한화기념관

한국 화약 발전사

일제강점기

한국의 화약 산업은 대한제국의 종말과 함께 그 전통이 완전 단절되고 일제에 의해 현지 분공장 형태로 근대 화약 산업이 도입됐다. 이 시기에 일제는 한반도를 대륙 침략의 전초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흥남, 인천 등지에 화약 공장을 지었으나 핵심 기술은 어디까지나 일본인 소유에 지나지 않았다. 핵심 공정에는 한국인을 철저히 제외시켜 주요 기술자의 양성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제는 1912년 8월 총포약류취체령을 공포, 한반도 내에서의 화약류 제조를 금지시키고 필요한 화약은 주로 일본에서 수입해 쓰도록 했다.

그 후 1920년대 초부터 부전강, 장진강, 압록강 등 수력 발전소 건설로 한반도에서 공사가 급격히 증가하고, 만주의 지하 자원 개발이 활발히 추진됨에 따라 화약 수요가 급증했다. 이와 함께 화약의 중요한 원료인 글리세린을 한국 연해의 주요 어종인 정어리의 어유(魚油)에서 얻게되면서 화약 산업이 싹트게 됐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한반도를 비롯해 만주 등에서의 광공업 개발이 더욱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화약 수요가 크게 확대되어 일본에서 생산하는 화약만으로 충족이 어렵게 되자 수요처에 가까운 현지에 공장 건설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따라 일제는 1932년 폭약제조 취체 규칙을 공포하여 무연 화약을 원료로 하는 폭약을 제조하는 자는 조선총독부에 신청,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하여 화약류 제조를 허가하기 시작하더니 1935년에는 종전의 화약 품목 제한을 해제하고 보통 화약류 전반에 대해서도 제조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기회가 주어지자 그 동안 풍부한 원료와 시장을 노려온 일본 화약업체들은 한반도에 화약 공장 설립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1935년 조선질소화약(주)의 설립을 시발로 하여 1940년까지 조선화약제조(주), 조선천야카릿트(주), 조선유지(주) 등이 잇따라 세워지게 됐다.

페이지 인쇄하기